본문 바로가기


CHEONGJU MUSEUM OF ART 전시

지난 전시

홈 전시 지난 전시
기획전
박혜경Park Hye Kyung : 소리 없이 다가온 것들의 진술 Ⅱ Statements of Things that Came Soundless Ⅱ Statements of Things that Came Soundless Ⅱ
대표이미지 보기
닫기

전시
안내

  • 작가명
  • 전시기간 2015-09-10 ~ 2015-09-20
  • 전시장소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전시개요

박혜경의 기억의 실타래, 시간의 기록

2015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는 입주기간동안 작품성과물을 프로젝트 형식으로 선보이는 아티스트 릴레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아티스트 릴레이 전시는 스튜디오 전시장에서 그간 작업했던 결과물에 대한 보고전시로 해마다 작가 자신의 기존의 성향과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감각과 역량을 보여주는 전시로 개최했다. 이에 올해 9기 작가들의 전초 전시로서 선보였던 ‘워밍업전’은 어떻게 개개인의 코드와 미적 언어들을 하나의 전체성으로 풀어낼 것인가에 관심이었다. 그 후 작가들의 작업을 풀어내는 워크숍을 통해 그간의 작업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이해할 수 있었다. 이에 좀 더 개인 작업에 집중하는 릴레이 전시 프로젝트는 체류하는 동안 기존 자신의 방법론을 어떤 방식의 의미를 새로이 전달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개별 스튜디오에서 전개하는 독특한 아이디어들의 기록과 실험적인 날 것의 이미지, 불완전한 예술적 의미, 모호하고 불편한 상황들을 전시장에 잠시 머무르며 그런 첨예한 문제들을 관람객과 나눈다. 이에 현장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우리에게 현대의 예술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통해 동시대의 미감에 대해 교감을 나눈다. 이번 4번째 릴레이전은 박혜경의 개인전으로 개최된다. 박혜경의 근작들을 정리해보면 그간 작업에서 추구해온 시간의 개념들에서 더 깊이 사유되는 것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 개인의 서사와 예술적 행위, 미시적인 기억과 일상의 시간, 이념의 이미지 등 매번 기록적인 행위를 표현함을 마주하게 되는데 이번 최근 작업들도 그 연장의 문맥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박혜경의 작업에서 주목할 것은 시간을 유추하며 발견된 이미지를 기록하는 작업들, 이를 테면 자신의 현재적 시간을 기록한 문구를 타이핑하고 그 문자를 다시 판화기법으로 인쇄한 문자작업들 또 그 문자 회화를 오리거나 찢어내 다시 캔버스에 꼴라주한 작업과 실타래와 같이 둥글려 엮은 작업들은 극히 사적이며 혹은 시적인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이미지의 기록이다. 이렇게 박혜경의 작업들은 기록이라는 층위에서 시작되는데 그 기록은 일반적인 사건과 행위를 적시하는 방식이 아닌 반복적인 시간, 행위를 증식시킴으로서 그 사이에 보는 이로 하여금 ‘어떤 계기인가’와 ‘어떤 시간인가’를 질문하는 작업들이다. 이렇게 그녀의 작업들은 다시 회화적 방법론에서 자신의 시간 이미지를 텍스트로 그려냄과 동시에 지워내고 선을 그어내는 ‘띠stripe’작업에 옮겨지면서 더 깊이 천착하게 된다. 그 작업들 역시 전 작업의 문맥과 같이 ‘기억 이미지’를 반복하는 것이고 매번 다른 버전으로 지속 시키는 것이다. 박혜경은 작업적 개념 즉 시간을 회화로 옮겨 놓는 일을 충실히 이행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회화, 판화, 드로잉 등 작업 전반에 나타난 ‘띠stripe’ 그림들은 매번 약동되는 기억의 상황을 어떻게 충실히 기록할 것이가를 드러내는 언표들이자 기호들이다. 그럼 화면을 면면히 살펴보자. 줄을 그어낸 다음 일정한 붓으로 옅은 색톤의 줄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시 그어 낸 작업과 반투명 아크릴 박스 안에 보일 듯 말 듯 한 아른거리는 실타래 입체작업도 마찬가지로 지속되는 기억과 시간을 박혜경식의 이미지로 보이며 이 무심하고도 초연한 그림들은 어떤 기묘한 충동과 긴장감을 준다. 어쩌면 그녀의 작업들은 베르그송의 ‘생의 충동elan vital’과도 개념이 연결된다. 왜냐하면 매번 다를 이 ‘띠stripe’의 반복들은 그 주체의 기억과 시간의 연속사이에 상호침투하여 매번 다름을 분화시키기고 절대로 동일성으로 환원될 수 없는 시간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박혜경은 그 그림의 층위를 다양한 버전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그 행위는 단순한 줄을 긋는 행위가 아닌 ‘시간의 기록’이라는 층위로서 이해된다는 것이다. 또 넓게 그녀의 작업들을 이해한다면 한국적인 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모더니스트들의 일루전을 제거한 캔버스의 평평함을 표식하는 무시간적 행위가 아닌 무수히 그어낸 행위와 정신을 기록하는 하나의 기록 테이프이며 기억의 표식이라는 것에서 참 우리내의 정신을 담고 있다. 한 땀 한 땀 수를 놓는 바느질과 오래 묵혀 곰삭은 우리의 음식과도 같은 기다림의 미학을 이 작업에서 여유로이 드러내는 것이다. 특히 줄을 긋는 몸의 행위와 시간의 언어를 유희하는 그녀의 작업들은 박혜경식의 정신적 ‘띠stripe’로 변주되어 앞으로 그녀가 지속시키는 그리기를 충동하는 시간과 지속의 매개체로서 다양한 버전으로 만날 예정이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나와 시간의 기록

나는 “시간의 기록”이라는 소재로 2007부터 지금 까지 작업 하고 있다. 이“시간의 기록”은 과거의 아팠던 시절에 몸의 감각과 기억을 물질화 시키고,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실망, 상실 그리고 희망을 색과 텍스트로 표현하고 Collage 하였다. 이는 시간의 영속과 내 삶을 에너지 화 시켜 미술을 통해 시각화 시킨 것이다. 달리 말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나의 표현 영역 그리고 몸의 감각과 기억을 물질화시킨다는 것은 어찌 보면 이미 의도된 치유의 작업 형태들이란 뜻이다. 이점이 내가 시간(기록하기, 요약하기, 암송하기, 생각하기, 말하기) 작업을 하고 있는 계기이며, 앞으로의 행복한 수많은 창작의 고통을 만끽하게 될 설렘의 이유가 된다.

나와 작업

삶과 죽음의 고비들을 이겨내고, 다시 건강을 되찾았다. 이것은 단절된 작업의 기록이 다시 연결된 것이다. 몸은 마치 고장 난 차의 부품을 새것으로 갈아주어 좀 더 오랫동안 도로를 달리게 되었으며, 나의 정신은 '어떤 작업을 할까' 보다 '나는 어떤 사람이여야 하는가' 가 더 중요해졌다. 이 세상에 왜 왔는지, 이제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나의 존재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수록 현실의 대한 불만은 극에 달했다. 애쓸수록 더 깊은 물속에서 허우적 거리기만 했다. 그것은 과거의 시간의 결과물 때문일 것이다. 한 켠에 쌓여 있는 판화작품(破紙)의 부유물을 가는 실 가락처럼 가위로 오려내어 과거의 흔적을 소멸시키고, 현재와 미래는 텍스트로 시간의 기록(소망하는 부분)을 이야기로 응집시켜 꼴라쥬하고, 사진매체를 이용해 색과 텍스트를 극대화 시켰다. 그것은 마치 선언문과도 같다.

건강을 지킬 것, 위험을 피할 것과 과거를 잊고 ,희망을 가지겠다고 당신 이름으로 맹세해.
-Laurence Anyways 에서

그러기에 작가인 내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마음과 몸을 지키는 것이다.

작가소개

 

부대행사